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

금융 경제 용어_고정분류여신, 고정이하여신비율, 고정자본소모

금융 경제 용어를 알아보고자 합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고정분류 여신, 고정이하 여신비율, 고정자본 소모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금융 경제 용어 목차

  1. 고정분류여신
  2. 고정이하 여신비율
  3. 고정자본 소모

 

금융 경제 용어_고정분류 여신

차주 채무상환능력의 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이 현재화되어 채권회수에 상당한 위험이 발생한 여신 또는 3개월 이상 연체하거나 부도가 발생한 차주의 여신 중 담보처분에 의한 횟수 예상가액 해당 여신을 말한다.

  • 현행 은행업 감독규정에서는 고정분류 여신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기업 및 가계 모두 20% 이상 적용하여 적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기업 여신액 100억 원 중 회수가능금액이 80억 원일 경우 최소 16억 원 이상 대손충당금으로 적립하여야 한다. 

 

금융 경제 용어_고정이하 여신비율

고정이하 여신비율 :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로 분류된 여신의 합계액을 총여신으로 나눈 비율

  •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여신을 자산건전성에 따라 5단계로 분류하여 관리하고 있다.
    • 5단계 구분 : 정상, 요주의, 고정, 회수의문, 추정손실

 

금융 경제 용어_고정자본 소모(consumption of fixed capital)

고장 자본 소모 : 생산활동에는 공장, 기계설비 등 고정자본(시설)이 필요한데 이들은 생산활동 과정에서 마모되기 마련이다. 이처럼 생산에 이용된 기계 등 자산의 가치 감소분을 고정자본 소모라고 한다.

  • 일정 기간 중에 생산된 생산물의 순수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생산능력이 저하되지 않고 그대로 유지된 상태에서 생산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즉 고정자본 소모만큼 조정하여야 한다. 
  • 자동차 공장을 예를 들어보면 먼저 자동차의 차체 등 각종 부품이 있어야 하며 또 각종 부품을 조립하는 기계가 있어야 한다. 자동차를 만들게 되면 부품도 소모되지만, 조립기계도 닳게 된다. 여기에서 총생산액은 산출액에서 부품 구입액 등 중간투입액을 차감한 총부가가치를 말하고 순생산액은 총부가가치에서 고정자본 소모를 뺀 순부가 가치이다. 그런데 고정자본 소모는 현 수준의 생산활동을 지속하기 위하여 언젠가는 지출될 부분이므로 이 공장의 측면에서 보면 총생산보다는 본래의 기계 가치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새로이 생산해 낸 부가가치 즉 순생산이 더욱 의미가 있을 것이다.

 

마치며

이상으로 금융 경제 용어인 고정분류 여신, 고정이하 여신비율, 고정자본 소모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