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 경제

금융 경제 용어_관리통화제도, 교환사채(EB), 구제금융

금융 경제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금융 경제 용어_관리 통화제도, 교환사채(EB), 구제금융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금융 경제 용어 : 관리통화제도

2. 금융 경제 용어 : 교환사채

3. 금융 경제 용어 : 구제금융

 

금융 경제 용어 : 관리 통화제도

1930년대의 대공황을 계기로 많은 나라들이 금본위 제도를 포기하면서 도입된 통화제도로 일국의 통화량 증감을 중앙은행 등 정책당국이 재량으로 조절하는 제도, 화폐 발행량이 정책당국에 의해 관리된다는 의미

  • 금본위 제도는 금의 자유로운 국제이동을 통해 환율 안정을 주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경기변동의 국제적인 파급을 피하 어렵고, 또한 대외균형을 위주로 하기 때문에 대내균형의 달성이 어려워지는 등의 취약점이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1931년 영국의 금본위제가 붕괴되고 금의 편재로 국제무역의 원활한 결제가 어렵게 되자 세계 각국은 완전고용을 도모하는 통제경제체제로 이행하면서 이제도를 채택하게 됨.
  • 금본위 제도가 환율 안정 및 국제수지 같은 국제균형을 우선시 하는 데 비해서 관리통호제도는 성장과 고용등 국내균형 우선의 통화제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관리통화제도 하에서도 환율안정 등 대외균형을 전혀 무시할 수는 없으므로 양자를 어떠헥 조화시킬 것인가 이 제도의 과제가 되고 있다.

 

금융 경제 용어 : 교환사채(Exchangeable Bond)

사채권자의 의사에 따라 사채를 교환사채 발생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타사 주식 등 여타의 유가증권과 교환할 수 있는 선택권이 부여된 사채

  • 발행하는 채권에 주식이 연계되어 있다는 점에서 발행회사의 신주를 일정한 조건으로 매수할 수 있는 신주인수권부사채나 발행회사의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전환사채(Convertible Bond) 등과 함께 주식연계 증권으로 불린다.
  • 발행회사가 보유하는 교환대상 유가증권은 상장 유가증권으로 제한되고 있으며 증권예탁원에 의무적으로 예탁되어야 함.
  • 투자자는 미래의 주식 가격 상승에 따른 시세차익을 기대할 수 있고 발행회 사는 낮은 이자율로 사채를 발행하여 금융비용 부담을 덜 수 있어 회사채 발행을 통한 기업자금조달을 촉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반면에 투자자자의 입장에서도 비교적 안정성과 이익 가능성이 겸비되어 있어 유리한 투자수단이 된다. 교환이 이루어질 때 발행기업의 자산과 부채가  동시에 감소한다.
  • 신규자금 유입이 없다는 점에서 신주인수권부사채(BW)와는 다르고 신주발행에 따른 자본금의 증가가 없다는 점에서 전환사채(CB)와도 다르다.

 

금융 경제 용어 : 구제금융

구제금융이란?

어떤 기업이 도산할 경우 국민경제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여 금융기관은 해당 기업에 도산방지를 위하여 정책적으로 자금을 지원해주는 것 이를 구제금융(relief loan)

 

구제금융은 신규 자금 융자 이외에 기 대출금의 상환 시기 조정 등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해 도산 위기의 기업에게 회생 기회를 부여하게 된다. 구제금융 이후 기업이 정상화되지 못하고, 구제금융자금 회수가 어려워지면 대출 금융기관 역시 자금난을 겪고 부실해질 수 있다.

 

IMF 구제금융

금융기관 및 기업이 총체적으로 부실해져 국가적 위기가 닥칠 경우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 요청을 하게 되는 것

IMF 구제금융은 일반적으로 조건이 까다롭고 국가적 구조조정 및 개혁이 전제되어야 한다.

 

마치며

이상으로

금융 경제 용어_관리 통화제도, 교환사채(EB), 구제금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